역량 그래프 작성 가이드 (Skill Graph Guideline)

구분 잘못된 예시 올바른 접근 방법 실천 팁
1. 수치의 근거 감으로 정한 70%, 80% 등 의미 없는 수치 실제 경험·활용도 기반의 수치로 설정 프로젝트 수, 사용 기간, 활용 빈도 등을 데이터화
2. 비교 기준 명시 “C# 90%, Python 80%”처럼 절대값만 나열 ‘자신의 평균 대비’ 혹은 ‘현재 목표 대비’ 기준 명확히 예: “현업 목표 숙련도 대비 70%”
3. 평가 관점 분리 기술 하나당 한 줄 그래프만 사용 기술을 기획·구현·문제해결·협업 활용도 등으로 분리 복합 역량 평가 시 거미그래프(Radar Chart) 활용
4. 시각적 균형 디자인 요소로만 과장된 그래프 데이터의 신뢰성을 우선, 디자인은 부차적 수치 기준선을 함께 표시(예: 평균선)
5. 성장 흐름 표현 한 시점의 능력만 표시 시간축을 추가해 성장 변화 보여주기 “2023 → 2024 숙련도 상승률” 형태로 표시
6. 검증 가능성 설명 없는 수치 제시 수치 근거를 프로젝트 예시와 연결 “Unity 숙련도 85% — 관련 프로젝트 5건, 2년 사용 경험”
7. 통합적 시각화 기술별 개별 그래프만 나열 전체 역량 밸런스를 한눈에 볼 수 있게 통합 “기술군별 평균 역량 그래프”로 정리

작성 예시

잘못된 예시

Skill Level
Photoshop 90%
Blender 80%
Unity 85%

개선된 예시

Skill 활용 기간(개월) 프로젝트 적용 횟수 주 활용 분야 숙련도(자체 평가, 근거 포함)
Unity 24개월 6회 UI/시스템 구현 80% (UI 애니메이션 구현, URP 환경 제작 경험 포함)
Blender 12개월 3회 3D 자산 제작 70% (모델링·라이팅 기본 역량 확보)
Photoshop 36개월 10회 그래픽 리소스 디자인 85% (레이어 기반 작업과 최적화 경험 포함)

역량 숙련도 설정 가이드

  • 포트폴리오에서 역량 그래프의 수치(%)는 단순한 감각치가 아니라, 명확한 기준과 근거를 기반으로 설정
  • *숙련도 최대치(100%)를 정의하고, 현재 값을 설정하는 방법

숙련도 100% 기준 설정 방법

구분 기준 내용 설명
실무 수행 가능 수준 현업에서 해당 기술을 단독으로 사용해 프로젝트 완성 가능 예: Unity로 중형 프로젝트를 혼자서 개발 가능
문제 해결 자율성 예외 상황 발생 시 외부 도움 없이 해결 가능 예: 버그 발생 시 스택오버플로 검색 없이 디버깅 가능
응용 및 확장 능력 해당 기술을 다른 도메인과 융합 가능 예: Unity + AI 시스템, Blender + Shader Graph 등
지속적 업데이트 대응력 새로운 버전/기술 변화에 빠르게 적응 예: Unity URP, HDRP 환경 변경 시 대응 가능

현재 숙련도 (%) 설정 가이드

현재 숙련도 판단 기준 예시
20~40% 학습을 시작한 상태. 문법/기초 개념 위주 이해 “튜토리얼 따라하기는 가능하지만 응용 불가”
50~70% 기본 기능을 활용해 소규모 작업 수행 가능 “개인 프로젝트에 적용 가능, 약간의 버그 해결 가능”
80~90% 실무 유사 환경에서 응용 가능 “게임 내 주요 시스템을 직접 설계 및 구현 가능”
100% 실무 리드 및 후배 교육 가능 수준 “팀 내 기술적 의사결정 및 코드 구조 설계 주도”

기술별 숙련도 설정 표

기술 숙련도(%) 기준 근거
Unity 85% 3개의 개인 프로젝트 제작, UI/이벤트 시스템 직접 설계 경험
Blender 60% 기본 모델링과 텍스처링 가능, 복잡한 리깅은 미숙
Photoshop 75% 포스터 및 인터페이스 디자인 다수 경험
C# 80% 비주얼노벨 엔진 제작 경험, 데이터 구조 및 이벤트 처리 이해
Git 65% 개인 저장소 관리 가능, 협업 브랜치 충돌 해결 경험 부족

핵심 요약

  • “100%는 완벽함이 아니라 ‘실무 독립 수행 능력’을 의미함”
  • “현재 수치는 과거 프로젝트, 문제 해결 경험, 응용 범위 등을 근거로 수치화해야 함”
  • “기준은 본인만의 경험 기반으로 문서 내에서 일관되게 설명해야 함”

역량 그래프 개선 예시 (근거 포함)

프로그래밍 및 엔진

Skill 활용 기간(개월) 프로젝트 적용 횟수 주 활용 분야 숙련도(%) 근거
Unity 24 6 UI 시스템, 게임 로직 구현 85 URP 기반 프로젝트 제작, 애니메이션/이벤트 시스템 구현 경험
C# 30 7 스크립트 작성, 툴 개발 80 커스텀 에디터 제작 및 비동기 처리 구현 경험
Python 18 5 데이터 처리, 자동화 스크립트 70 텍스트 파싱, CSV 자동 정리 및 시각화 도구 제작 경험
Photoshop 36 10 그래픽 리소스 디자인 85 인터페이스 아이콘 및 배너 제작 다수
Illustrator 24 6 로고, 벡터 그래픽 제작 75 브랜드 로고 및 인포그래픽 시안 완성
Blender 12 3 3D 모델링, 라이팅 70 캐릭터 모델 및 배경 오브젝트 제작 경험
Excel / Google Sheets 48 12 데이터 정리 및 시각화 90 실데이터 기반 콘텐츠 맵 제작 및 대시보드 구성 경험
Tableau 10 2 시각적 데이터 분석 65 사용자 로그 시각화 및 인사이트 도출
SQL 20 4 데이터 쿼리 및 관리 70 프로젝트 통계 데이터 정제 및 조회 자동화 수행
Git / GitHub 30 8 버전 관리, 협업 환경 구축 80 팀 단위 프로젝트에서 브랜치 전략 수립 및 이슈 관리
Notion 18 5 프로젝트 문서화, 일정 관리 75 포트폴리오 구조 및 개발 로그 문서화 수행
Jira 12 3 업무 관리, 태스크 분배 65 개발 일정 관리 및 스프린트 단위 이슈 추적
PowerPoint 48 15 기획서 및 발표자료 제작 85 프로젝트 결과 발표 및 과제 보고서 제작
Figma 20 5 UI 프로토타이핑, 협업 디자인 80 인터랙티브 와이어프레임 제작 및 팀 협업 경험
After Effects 10 3 모션 그래픽, 영상 연출 65 포트폴리오 영상 인트로 및 모션 요소 제작

핵심 메시지

“역량 그래프는 감정이 아니라 데이터 기반 자기분석 도구

  • 즉, 그래프를 ‘내가 이렇게 느낀다’의 표현이 아니라, ‘내 경험 데이터가 이렇게 말한다’의 시각화로 만들기

추가 팁

  • “수치의 근거를 표로 먼저 정리하고 그래프는 나중에 그리기”
  • “직접 계산한 데이터(횟수, 시간, 결과물)”를 기반으로 작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