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요 기간과 공정률로 프로젝트 예상 완료시간(ETA, Estimated Time of Accomplishment / Completion, 예상완료 시점) 산출하기

개요

프로젝트의 현재 공정률(%)이미 소요된 기간(Elapsed Time) 혹은 전체 계획 소요기간(Planned Total Duration) 을 이용해 남은 기간과 예상 완료일을 추정할 수 있다.
주로 사용하는 3가지 방식은 다음과 같다.

  1. 속도(실제 진행률) 기반 추정 (Velocity-based)
    • 현재까지 걸린 시간과 현재 공정률을 바탕으로 전체 소요시간을 역산.
  2. 계획 기반 추정 (Plan-based)
    • 원래 계획한 총 소요기간에서 남은 비율을 계산.
  3. 하이브리드 (가중치 혼합)
    • 위 둘을 가중 평균하여 보수적/낙관적 요소를 조절.

공식(원리)

  • 기호:
    • p = 현재 공정률 (0~100%) → 계산 시 소수로 변환: p_frac = p / 100
    • t_elapsed = 이미 소요된 기간 (일/시간 단위)
    • T_planned = 계획된 전체 소요기간 (일/시간 단위)
    • w = 가중치 (0~1), w가 클수록 속도 기반 추정에 더 무게를 둠

1) 속도 기반 (Velocity-based)

  • 전체 추정 소요기간 T_est = t_elapsed / p_frac
  • 남은 기간 t_remaining = T_est - t_elapsed = t_elapsed * (1 - p_frac) / p_frac

유의: p가 0이면 적용 불가 (나누기 0).

2) 계획 기반 (Plan-based)

  • 남은 기간 t_remaining = T_planned * (1 - p_frac)

3) 하이브리드 (혼합)

  • T_vel = t_elapsed / p_frac (속도 기반 전체 추정)
  • T_hybrid = w * T_vel + (1 - w) * T_planned
  • t_remaining = T_hybrid - t_elapsed

완료일(예상) 산출

  • ETA_date = 오늘(또는 기준일) + t_remaining (일 단위로 더함)

엑셀 / 구글시트 수식

가정:

  • A2 = t_elapsed (일)
  • B2 = p (퍼센트, 예: 30)
  • C2 = T_planned (일)
  • D2 = w (하이브리드 가중치, 0~1)
  1. 속도 기반 전체 추정 (T_est)
    =IF(B2>0, A2 / (B2/100), "")

  2. 속도 기반 남은 기간 (days)
    =IF(B2>0, A2 * (1 - B2/100) / (B2/100), "")

  3. 계획 기반 남은 기간 (days)
    =C2 * (1 - B2/100)

  4. 하이브리드 남은 기간 (days)
    =IF(B2>0, (D2*(A2/(B2/100)) + (1-D2)*C2) - A2, "")

  5. 예상 완료일 (오늘 기준)
    =TODAY() + <남은 기간 셀>

주의: 엑셀에서 B2/100 처럼 퍼센트를 소수로 바꿔 계산해야 한다.


계산 예시 (단계별 산출 — 숫자 하나하나 풀어서)

예시 A — 속도 기반 예측

  • 조건: t_elapsed = 18일, p = 30%
  • 계산:
    1. p_frac = 30 / 100 = 0.30
    2. T_est = t_elapsed / p_frac = 18 / 0.30
      • 18 ÷ 0.30 = 60 (일). (한 자리씩: 18 ÷ 0.30 = 60.0)
    3. t_remaining = T_est - t_elapsed = 60 - 18 = 42 (일)
  • 결과: 전체 예상 소요 = 60일, 남은 기간 = 42일
  • 예시 완료일(기준일 2025-11-10일 경우): 2025-11-10 + 42일 = 2025-12-22
    (2025-11-10부터 42일 후는 2025-12-22)

예시 B — 계획 기반 예측

  • 조건: T_planned = 90일, p = 40%
  • 계산:
    1. p_frac = 0.40
    2. t_remaining = T_planned * (1 - p_frac) = 90 * (1 - 0.40)
      • 1 - 0.40 = 0.60
      • 90 * 0.60 = 54 (일)
  • 결과: 남은 기간 = 54일

예시 C — 하이브리드 (가중치 0.7)

  • 조건: t_elapsed = 18일, p = 30%, T_planned = 90일, w = 0.7
  • 계산:
    1. p_frac = 0.30
    2. T_vel = 18 / 0.30 = 60 (위 예시 A)
    3. T_hybrid = w * T_vel + (1 - w) * T_planned
      • w * T_vel = 0.7 * 60 = 42.0
      • (1 - w) * T_planned = 0.3 * 90 = 27.0
      • 합 = 42.0 + 27.0 = 69.0 (일)
    4. t_remaining = T_hybrid - t_elapsed = 69.0 - 18 = 51.0 (일)
  • 결과: 총 추정 소요 69일, 남은 기간 51일

여러 작업(Task)으로 구성된 프로젝트의 ETA

  • 각 작업 i에 대해 t_remaining_i를 계산한 뒤, 병렬/직렬 구조를 고려하여 합산해야 한다.
    • 직렬(순차) : 전체 남은 기간 = 합(t_remaining_i)
    • 병렬(동시 진행) : 전체 남은 기간 = 최대값( t_remaining_i ) (가장 오래 걸리는 작업이 병목)
  • 실무 팁: 작업 간 의존성(Dependency)을 명확히 한 후 Gantt 차트로 시각화하면 더 정확한 ETA 산출 가능.

신뢰도(정확도) 향상 팁 및 주의사항

  • p(공정률)의 정의를 명확히: 시간기반인가 산출물기반인가? (예: ‘코드 모듈 5/10 완료’처럼 산출물 기반이 더 객관적)
  • 초기 단계(낮은 p)에서는 속도 기반 추정이 매우 불안정 → 계획 기반 혹은 보수적 가중치 권장
  • 변동성(리소스 변동, 요구사항 변경) 반영: 가중치(w)를 주기적으로 조정
  • 품질/재작업 고려: 완료로 계산된 작업이라도 재작업 가능성(버그/리뷰 피드백)을 감안해 여유 버퍼(예: 10~20%)를 둬라
  • 주기적 재평가: 매 스프린트/주간 단위로 실제 t_elapsedp를 업데이트하여 ETA 재계산
  • 비정상치(Outliers): 한 번의 급격한 생산성 변화(예: 휴가, 인원 충원)는 일시적일 수 있으니 단일 시점으로 결론 내리지 말 것

보고서 문구 예시 (한글)

  • 속도 기반으로 산출:

    “현재 누적 소요 18일, 진행률 30% 기준으로 예상 전체 소요는 60일이며, 남은 기간은 약 42일(예상 완료일: 2025-12-22)입니다.”

  • 계획 기반으로 산출:

    “원래 계획(총 90일) 기준으로 남은 기간은 54일입니다.”

  • 하이브리드:

    “속도와 계획을 70:30 가중치로 혼합한 추정 결과, 총 예상 소요는 69일, 남은 기간은 약 51일입니다.”


한 줄 요약

  • 공정률만으로는 불확실성이 크다. 가능한 경우 실제 소요(Elapsed), 계획 총량(Planned), 그리고 업무 특성(병렬/직렬, 재작업 비율)을 함께 사용해 ETA를 산출하고 정기적으로 갱신하라.

ETA, ETC, EAC 용어 정리

ETA란?

ETA = Estimated Time of Arrival

  • 직역: “예상 도착 시간”
  • 프로젝트 관리에서는 “예상 완료 시점 (Estimated Time of Accomplishment / Completion)” 으로 확장 사용
  • 즉, 작업이나 프로젝트가 언제 끝날지(완료될 시점) 을 의미함

유사 개념 비교

약어 풀네임 의미 사용 예시
ETA Estimated Time of Arrival 예상 완료 시점(날짜·시간) “ETA: 2025-12-22” → 완료 예정일
ETC Estimated Time to Completion 남은 예상 기간 “ETC: 42 days” → 남은 기간 42일
EAC Estimate at Completion 완료 시점의 총 소요시간(또는 비용) 추정 “EAC: 60 days” → 전체 소요 60일 예상

관계 요약

개념 의미 예시 수식
ETA (완료 시점) 오늘 기준으로 프로젝트가 언제 끝날지 ETA = 오늘 날짜 + ETC
ETC (남은 기간) 지금부터 완료까지 필요한 시간 ETC = EAC - 경과시간
EAC (총 소요 추정) 완료까지의 전체 소요시간 EAC = 경과시간 / (진행률%)

예시

  • 현재 공정률 30%, 경과 18일 → EAC = 18 / 0.3 = 60일
  • 남은 기간 ETC = 60 - 18 = 42일
  • 기준일이 2025-11-10이면,
    ETA = 2025-11-10 + 42일 = 2025-12-22

요약 문장 예시

현재 누적 소요 18일, 진행률 30% 기준으로
전체 예상 소요(EAC)는 60일, 남은 기간(ETC)은 42일이며,
예상 완료 시점(ETA)은 2025-12-22입니다.


한 줄 요약

ETA는 “언제 끝날지(시점)”,
ETC는 “얼마나 남았는지(기간)”,
EAC는 “결국 얼마나 걸릴지(총량)”를 뜻한다.


EAC / ETC 기반 프로젝트 진행 위험도 예측법

개요

프로젝트 진행률(%)만으로는 실제 일정 리스크를 정확히 알 수 없다.
그래서 EAC(Estimate at Completion)ETC(Estimated Time to Completion) 를 이용해
현재 속도, 잔여 일정, 계획 대비 차이를 기반으로 진행 위험도(Risk Level) 를 예측한다.


핵심 개념 요약

용어 의미 계산식 해석 포인트
EAC 예상 총 소요시간(또는 비용) EAC = 경과시간 / (진행률%) 현재 속도로 완료 시 전체 소요 추정치
ETC 남은 예상 기간 ETC = EAC - 경과시간 지금부터 완료까지 필요 시간
SPI 일정 수행지수 (Schedule Performance Index) SPI = EV(실제진행률%) / PV(계획진행률%) < 1: 지연, > 1: 앞섬
SV 일정 편차 (Schedule Variance) SV = (실제진행률% - 계획진행률%) × 계획 총기간 음수면 일정 지연
EV 실제진행률 (Earned Value) 실제로 수행한 작업의 가치 (진척률 × 총예산)  
PV 계획진행률 (Planned Value) 지금 시점까지 계획상으로 수행했어야 할 작업의 가치  

위험도 산정 지표

위험도 SPI 기준 SV 기준 해석 색상
낮음 (Low) ≥ 0.95 ≥ 0 계획과 거의 일치, 정상 진행 🟩 Green
보통 (Moderate) 0.85 ~ 0.94 -10% ~ 0 약간의 지연, 관리 필요 🟨 Yellow
높음 (High) 0.70 ~ 0.84 -25% ~ -10% 지연 위험 존재, 일정 조정 필요 🟧 Orange
심각 (Critical) < 0.70 < -25% 일정 붕괴 가능성, 즉시 조치 필요 🟥 Red

⚠️ SPI는 일정 수행 효율을 보여주는 지표로, 1.0보다 작으면 일정 지연을 의미한다.
예: SPI = 0.8 → “계획보다 20% 느린 속도로 진행 중”.


예시 계산

항목 설명
경과시간 30일 현재까지 진행된 기간
계획 총기간 90일 원래 계획 일정
실제 진행률 30% 실제 수행률
계획 진행률 33% 계획상 도달했어야 할 비율 (30일/90일 = 0.33)
EAC 30 / 0.3 = 100일 현재 속도 유지 시 총 소요
ETC 100 - 30 = 70일 남은 예상 기간
SPI 0.33 / 0.30 = 1.10 계획보다 약간 빠름
SV (0.30 - 0.33) × 90 = -2.7일 약 3일 지연 수준

판정: SPI 1.10 → 🟩 정상 범위(낮은 위험도)
다만 SV 음수 → “세부 일정 일부 지연”으로 기록 가능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