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맨 위로>
schedule compression 일정 단축
VR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지연 시 대처 방법 (종류별)
1) 일정 단축(Schedule Compression) 전략
크래싱(Crashing)
- 사람/예산 투입 증가
- 외주 인력 추가, 아웃소싱 일부 전환
- 핵심 구간에 고경력자 투입하여 속도 향상
패스트트래킹(Fast-Tracking)
- 원래 순차 작업을 병행 진행
- 예: 기획–개발–QA 순서를 일부 병렬로 변경
- 리스크는 증가하지만 일정 단축 효과 있음
2) 범위 조정(Scope Management) 전략
기능 축소(Scope Reduction)
- 핵심 기능 위주로 압축
- 덜 중요한 상호작용, 애니메이션, 이펙트, 모션 축소
페이즈 분리(Release Split)
- 본 출시에서는 핵심 기능만, 부가 기능은 후속 버전 또는 패치로 분리
3) 리소스 재배치(Resource Optimization) 전략
인력 재배치
- 속도 느린 파트를 고경험자에게 재배정
- 병목 구간 해결(예: 3D 모델링 ↔ 개발 ↔ 최적화)
병목 제거(Bottleneck Removal)
- 특정 파트가 전체 속도를 늦추면 해당 부분 집중 개선
- 자동화 도구 활용, 템플릿 활용 등
4) 업무 방식 개선(Process Improvement) 전략
워크플로우 개선
- Git 브랜치 전략 정리
- 툴 파이프라인 자동화
- 빌드·테스트 자동화(CI/CD)
작업 단위 세분화
- 큰 태스크를 작게 나누어 빠른 피드백 확보
- 일정 예측 정확도 향상
5) 리스크 관리(Risk Management) 전략
문제 재발 방지 대책
- 지연 원인 분석 후 근본 해결
- 예상 리스크 목록 업데이트
버퍼 재배치
- 향후 일정에 완충 리스크 버퍼 재설정
6) 커뮤니케이션 전략(Stakeholder Management)
이해관계자 공지
- 지연 상황 설명
- 기능 축소, 외주, 일정 조정 등 대안 제시
- 일정 재협상 및 승인 획득
내부 정렬
- 팀 전체 우선순위 재조정
- 비효율적 업무 과정 제거
7) 품질 조정(Quality Management) 전략
QA 범위 축소
- 검수 항목 축소
- 자동 테스트 도입
그래픽/이펙트 품질 완화
- LOD 적용, 텍스처 해상도 조정 등
- VR 콘텐츠 최적화를 위한 현실적 조치
